학사안내
School of Pharmacy
School of Pharmacy
의료기관, 지역약국, 제약산업 및 약무행정 분야에서 전문인의 지식과 기술, 윤리와 태도를 습득하고 전문직간 협업능력을 갖춘 약료전문인 양성
필수실무실습을 완료 후 선택분야에서 전문성 강화를 위한 현장심화실습을 경험하고전문 역량을 갖춘 약료전문인 양성
필수실무실습(필수) | 실습학년학기 | 실습시간(주) | 평가(인정학점) |
---|---|---|---|
기초약무교육1,2 (예비실무실습) | 5학년 1, 2학기 | 60시간 (30주) | Grade (2학점) |
의료기관 | 6학년 1학기 | 400시간 (10주) | Grade (8학점) |
지역약국 | 6학년 1학기 | 200시간 (5주) | P/F (3학점) |
제약산업 | 6학년 1학기 | 120시간 (3주) | P/F (3학점) |
약무행정 | 6학년 1학기 | 20시간 (0.5주) |
선택실무실습(필수) | 실습학년학기 | 실습시간(주) | 평가(인정학점) |
---|---|---|---|
의료기관 | 6학년 2학기 | 600시간 (15주) | Grade (15학점) |
지역약국 | 6학년 2학기 | 600시간 (15주) | Grade (15학점) |
제약.약무행정 | 6학년 2학기 | 600시간 (15주) | P/F (15학점) |
의약연구 | 6학년 2학기 | 600시간 (15주) | P/F (15학점) |
총 실무실습 시간 | 1,400시간 (35주) |
덕성여자대학교 위탁교육 의료기관인 24개 상급종합병원 및 종합병원은 필수실무실습 (10주) 및 선택실무실습 (15주) 교육과정에서 병동입원환자와 외래환자중심 전문직간교육 협업 학습활동을 제공
덕성여자대학교 약학대학 교수진과 의료기관소속 겸임교수 팀티칭 역량평가 교육과정인 OSCE는 표준화된 가상환자 (standardized virtual patients)와 환자사례를 사용하여학생들이 환자중심 질병분석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역량을 나타내고임상 실습을 경험함
미국 캘리포니아 소재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Western University of Health Sciences에서 주관하는 해외 임상프로그램으로 미국 약학대학 교수진 및 해외 학생들과 함께 미국 의료기관, 지역사회약국, 개인약국 방문,미국 약학대학 세미나교육에 참여하는 기회를 제공하여해외 교류 및 선진 의료보건교육을 경험함
약학교육협의회에서 규정하는 실습교육기관의 자격요건을 갖추고 최소 3년이상의 근무경력 및 전문능력을 갖춘 프리셉터의 관리감독 하에 필수실무실습 5주(200시간), 선택실무실습 15주(600시간)의 기간동안 서울 지역 28개 지역약국에서 지역약국 약사로서 핵심전문능력 함양.정확하고 신속한 처방조제 및 복약지도, 의약품정보•보험청구업무 및 약국관리의 효과적인 수행을 위한 집중적∙체계적인 교육프로그램 제공
처방 조제 및 투약
의약정보
보험 청구 및 약국경영
일반의약품
약사의 사회활동
약학교육협의회에서 규정하는 실습교육기관의 자격요건을 갖추고 최소 3년이상의 근무경력 및 전문능력을 갖춘 프리셉터의 관리감독 하에 필수실무실습 5주(200시간), 선택실무실습 15주(600시간)의 기간동안 서울 지역 28개 지역약국에서 지역약국 약사로서 핵심전문능력 함양.정확하고 신속한 처방조제 및 복약지도, 의약품정보•보험청구업무 및 약국관리의 효과적인 수행을 위한 집중적∙체계적인 교육프로그램 제공
제약산업
약무행정
의약연구 실무실습은 연구실에서 15주(600시간)동안 의약학 연구참여를 통해 약과학자로서 문제해결능력과 융합적 사고력을 함양하여 전문연구역량 증진.덕성여대 약학대학 전임교원 세부전공분야와 관련하여 해당연구실의 대학원생과 함께 의약관련 연구를 수행하여 전문가로서 연구능력을 함양
6년의 약학교육으로 학습한 약학전문지식 및 문헌조사∙자료분석 능력을 활용하여, 실무실습 중 발생한 다양한 문제상황에 대해 “조별과제활동”으로 기획부터 제작까지 조별협업 및 문제해결능력을 집대성한 결과물 완성.약학대학 6학년생을 대상으로 2학기에 진행되며, 조별 과제의 주제는 기초 및 선택실무실습(의료기관, 지역약국, 제약산업∙약무행정, 의약연구) 동안 학습했던 의약품, 질환, 보건의약관계 제도 및 법 관련 모든 주제를 포괄. 발표 형식은 조별 구두발표와 포스터발표로 구성